글
[방콕&치앙마이] 정말 오랫만에 가족 여행
우리 엄마는 결혼하기 전 사립학교 선생님이셨댔다. 우리 아빠 성실성만큼은 내가 아는 그 누구보다도 엄지척!이지만, 사회 초년생 사원 월급이 그리 풍족할 리 없을 터. 회사 사택에 살면서 엄마는 나와 동생을 낳고 키우고, 한 푼 두 푼 아껴가면서도 모든 시간을 함께 해줬다. 그 시절, 옆집이나 아랫집 윗집에 내 집인양 드나들며 아줌마, 친구, 동생들과 밥먹고 놀았던 기억은 여태 생생하다.
나는 초등학교 입학하고, 아빠 승진하실 무렵, 엄마는 보육교사 자격증을 따고 어린이집 원장님이 되었다. 부산과 기장 사이 구석진 동네인 반송을 떠나, 금정구로 이사했다. 하늘이 온통 우중충했던 전학날이 기억난다. 엄마가 손잡고 데려다주며, 여기 피아노 학원 앞에서 골목으로 들어와야 한다, 동네 길을 알려줬다. 노란 병아리가 그려진 스카치테이프를 준비물로 사서 새 학교, 새 교실에 들어갔다. 2학년 9반이었다. 마치고서는 집에 어떻게 찾아가나, 걱정이 무색하게 할아버지가 우산 쓰고 마중나와 계셨다.
처음에는 어린이집 안쪽 방에서 네 식구 함께 생활했다. 얼마쯤 지나 신축 빌라로 이사했다. 우리 집이 될 줄도 모르고, 공사장에서 인부 아저씨가 피워 놓은 불가에서 놀던 기억이 난다. 그 불가 자리는 시멘트 발린 주차장이 되어, 동생과 나의 훌륭한 인라인스케이트장으로 활약했다. 동생이랑 나는 많이도 싸웠(우)지만 함께 자라면서 좋은 놀이 친구였다. 그 빌라에서 초등학생, 중학생 시절을 보냈는데 참 행복했다. 나의 리즈시절이었다(;;). 집과 어린이집이 가까웠기에, 엄마도 우리도 수시로 오가며 붙어 있었다.
중학교 3학년 때 다시 이사를 해서, 친구들과 떨어져 나 혼자 다른 고등학교를 가게 됐다. 공부하느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무엇보다 내 안의 사춘기 소녀와 싸우느라 힘들었던 때였다. 지금 생각해도 안쓰럽고, 안아주고 싶은 시기의 나였다. 부모님에게 친절하고 착한 딸일 리 없었다. 결정적으로 서울에 있는 대학에 가고, 취업하면서 부모님과 점점 멀어졌다.
졸업하고 일하다 보니 어느새 20대 후반이 됐다. 동생은 졸업반 인턴, 아버지는 최종 직급까지 승진하셨고 엄마는 20년 어린이집을 정리하며 인생의 새 막을 준비하게 됐다. 나는 마침 곧 백수가 될 예정인, 휴가가 10여 일 남은 1년 계약직이다. 올해 우리 가족은 잠깐의 여유를 맛보며 앞으로의 변화를 준비하게 될 것 같다. 각자 남은 휴가를 몰아쓰며 엄마의 해방(!)을 축하하기로 했다. 아프리카와 한국의 중간지점으로 만만한(ㅎㅎ) 방콕을 선정했고, 약간씩의 저항을 극복하며 결국 만났다.
-- 치앙마이에서 길가다 문득 들어간, 어느 사원에서/ 해질녘 저녁 예불 종을 치는 스님 --
넷이서 방콕 5일, 엄마랑 나랑 둘이서 치앙마이 5일, 좋은 여행이었다. 나는 특히 치앙마이의 평화로움이 좋았다. 열 달 만에 만났는데 가족은 가족, 언제 떨어져있었나 싶게 너무 익숙해서 오히려 죄송했다. 왜냐면 부모님한테 나는 좀 짜증도 잘 내고... 아무튼 ㅠㅠ 엄마는 오랫만에 딸도 만나고 외국에도 왔으니 즐겁고 반갑고 열심히셨는데 나는 아프리카에서 쌓은 지침의 게이지를 이기지 못하고 널부러지고만 싶었다. 아무튼 덕분에 부모님의 익숙함과 마사지의 편안함으로 마음의 평화를 조금이나마 회복하고 올 수 있었다.
-- 치앙마이 유명한 마사지샵에서, 이름값 확실히 하는 곳이었다 --
매일의 일상에 집중해서 일을 잘 처리하는 것도 좋은데, 때로는 한 발짝 떨어져 큰 그림을 볼 때가 필요하다. 열흘만에 돌아온 말라위는 그래도 몇 달간 집이었다고 익숙하면서도, 한편 한 발짝 멀어진 내 마음때문에 새롭기도 했다. 한 달이면 일이 정말로 끝나버려 나는 떠나고, 다시는 이렇게 돌아오지 않겠지 싶으니, 반겨주는 직원들 얼굴이 착잡하게 느껴졌다.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 아쉽기도 하고, 내가 무엇을 더 어떻게 잘 할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되고. 부모님과 함께 할 시간도 마찬가지다. 서로가 여유로울 때가 오기 힘들고 또 지금이 우리 남은 삶 중에 가장 젊은 날임을 생각할 때, 매 순간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게 만고 불변의 진리인데도 그렇게 하지 못하는, 부족하고 퉁명스런 딸인 내가 한스럽다.
그래서, 올해는 여행을 많이 다니지 싶다. 내가 미국가기 전에, 동생이 취업하기 전에, 엄마가 아빠가 아직 가장 젊을 때. 여행지가 꼭 외국 어디 좋은 곳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어서, 하다못해 집 앞 도서관이 될 수도 있지만. 시간을 함께 보낸다는 것, 혹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을지라도 조용히 서로를 생각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게 아닐까? 나도 엄마도 새로운 페이지를 준비하며 생각하고 정리할 시간이 필요해서, 조용하게 내면이 더 강해지는 때를 보내야지. 치앙마이는 그 시작이었다.
'여행 일기 > [18'4월] 태국 방콕 & 치앙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콕&치앙마이] 송크란 축제 (0) | 2018.06.07 |
---|---|
[방콕&치앙마이] 치앙마이 도이수텝; best of ever (0) | 2018.04.26 |
글
칼럼?
미국 간호사를 준비하며 알게 된, 일과 공부에 열정적인 어느 선생님께서 얼마 전 카페를 새로 만들었는데, 내가 아프리카 관련한 칼럼을 써줄 수 있겠냐는 부탁을 하셨다. 칼럼이라니, 단어가 거창한데 내가 잘 쓸 수 있을까? 것보다도, 내가 여기서 경험하고 느끼고 배운 것은 과연 무엇일까? 내 마음과 생각이 일단 정리가 잘 되지 않아 어려운 일로만 보인다.
나는 중환자실 간호사로 일하다 왔고 미국에 또 간호사로 갈 거지만, 여기서는 엄밀히 말해서 간호사로서 일을 한 것이 아니다. 내가 맡은 직책, 프로젝트 매니저는 간호사인 나 뿐 아니라 보건, 경제,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다른 여러 전공자들의 지원에 열려있다. 어떤 팀을 맡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사무실에서 데이터와 연구 관련 업무에 집중하는 것이 주이다. 매일 산모들, 아기들, 부모, 초등학생, 선생님을 만나서 중재하고 서베이하는 것은 현지 인력으로 구성된 필드 팀이고, 우리 매니저들은 그 필드 팀들이 문제 없이 잘 굴러갈 수 있도록 매니지하는 것, 모아 온 데이터가 얼마나 타당한지 관리하는 것 등의 일을 한다.
물론 사무실 운영 제반에 관련하여 코이카 등의 펀딩 소스에 회계 보고하는 것, 교수님과 데이터 관련하여 회의하는 것, 약국이나 인쇄소나 차 렌탈 업체 등과 거래하는 것, 협력단체나 정부 부처에 필요사항 요청하고 협조하는 것 등도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되는 주요 업무들이다. 하지만 우리 단체의 정체성은 그냥 '국제 개발 사업 수행'이 아니라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한 국제 개발'이기 때문에, 대부분 PM들이 가장 배우고자 하는 것은 '연구 사업'이다. 수많은 국제개발 NGO 중에 하필 프로젝트 말라위에 지원한 것은 아무래도 그 차별성 때문이 아니었을까?
나 또한 마찬가지이다. 여기에 오기로 결심하기까지 많은 이유들이 있었지만, 가장 큰 키워드는 '보건'과 '연구'였다. (그렇게 보니 '국제 개발'은 최우선순위가 아니었구나...) 한국에서 대학병원 간호사로 일하는 것이 재미와 보람은 있었지만, 무언가 부족하게 느껴졌다. 내가 가진 열정과 재능(이라 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니 실말같은 재능의 잠재성...정도라 할까)을 십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생각되었다. 학교에서 배운 학문으로서의 간호,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간호사상과 병원 환경 안에서의 현실 사이의 괴리는 너무나 컸다. 데이터, 통계, 연구는 학부 때부터 즐거웠던 주제였고, 간호에 회의가 느껴져 보건을 선택한 것이었다.
여기 와서 정말 힘들었지만 한편 정말 많이 배웠다. 연구 사업의 운영과 관련한 경험적 지식 뿐 아니라,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와 커뮤니케이션(학생회나 동아리나 병원 경험에서 충분하다 생각했지만, 인간관계란 끝없는 탐구인것 같다), 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 사람들과 사는 것, 다시 간호학으로 돌아가야겠다는 결심, 정말 작게는 미니멀라이프의 체득까지(매일 같은 옷에 선크림만 바르고 맑은 하늘보며 출퇴근하다가, 이쁘고 멋지게 차려입은 사람들, 끊임없이 소비를 자극하는 광고영상, 소음과 먼지로 가득한 대도시에 돌아가니 어찌나 정신사납던지).
이렇게 보니, '간호사로서' 혹은 '국제개발하는 사람으로서'라는 단어가 나와 내 경험에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 '연구사업에 발가락정도 담궈 본 꼬맹이 지원자로서' 혹은 '학문적 정체성을 고민하는 청년 백수로서'가 차라리 어울린다. 이 관점에서 글을 써 봐야 겠다. 언제가 될 지 모르겠지만...... hopefully sooner or later
'프로젝트 말라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국간칼럼] 말라위 소개 (2) | 2018.05.07 |
---|---|
신변잡기 (0) | 2018.05.06 |
Biocair에서 뜬금없는 전화 (0) | 2018.01.30 |
그냥 어느 날, 말라위의 노을 (0) | 2018.01.29 |
필드 처음 나갔던 날, Birth Outcome Team (0) | 2018.01.26 |
글
[STATA] list, sep, sepby, abb command
Stata에서 list command를 사용할 때, list한 변수 내용과 상관없이, observation 5개마다 구분선이 그어지게 된다.
. list RCT RespondentID deliverydate in 1/10, abb(20)
+----------------------------------------+
| RCT RespondentID deliverydate |
|----------------------------------------|
1. | POST 1000301 12/31/1899 |
2. | POST 1000302 11/28/2016 |
3. | PRE&POST 1000501 10/1/2016 |
4. | PRE&POST 100201 12/13/2016 |
5. | PRE&POST 100202 1/16/2017 |
|----------------------------------------|
6. | PRE&POST 100301 4/3/2017 |
7. | PRE&POST 100302 12/31/1899 |
8. | POST 1010301 10/8/2016 |
9. | POST 1010302 11/15/2016 |
10. | POST 1010303 10/23/2016 |
+----------------------------------------+
이 때, 구분선 없이 한 개 표로 만들고 싶다면, sep(0) 옵션을 걸어준다.
. list RCT RespondentID deliverydate in 1/10, abb(20) sep(0)
+----------------------------------------+
| RCT RespondentID deliverydate |
|----------------------------------------|
1. | POST 1000301 12/31/1899 |
2. | POST 1000302 11/28/2016 |
3. | PRE&POST 1000501 10/1/2016 |
4. | PRE&POST 100201 12/13/2016 |
5. | PRE&POST 100202 1/16/2017 |
6. | PRE&POST 100301 4/3/2017 |
7. | PRE&POST 100302 12/31/1899 |
8. | POST 1010301 10/8/2016 |
9. | POST 1010302 11/15/2016 |
10. | POST 1010303 10/23/2016 |
+----------------------------------------+
변수 내용에 맞춰 구분선을 그어줄 수도 있다. long type data일 때, 예를 들어 같은 ID로 여러 옵저베이션이 있을 때 sepby(ID) 옵션을 걸어주면 편리하다.
. list ID name completed_time in 20/30, abb(20) sepby(ID)
+------------------------------------------------+
| ID name completed_time |
|-----------------------------------------------|
20. | 60402 ESIME DYSON 8/1/2016 10:57 |
21. | 60402 ESIME DYSON 10/4/2016 9:38 |
|-----------------------------------------------|
22. | 60403 JESSY REUBEN 8/3/2016 12:56 |
23. | 60403 JESSY REUBEN 9/20/2016 1:07 |
|-----------------------------------------------|
24. | 60404 CHITSANZO KWANITSANI 8/3/2016 12:41 |
25. | 60404 CHITSANZO KWANITSANI 9/20/2016 12:51 |
|------------------------------------------------|
26. | 60501 TIYAMIKE LICKSON 8/4/2016 12:02 |
|-----------------------------------------------|
27. | 60503 LIDESI JERE 10/4/2016 9:02 |
28. | 60503 LIDESI JERE 11/28/2016 9:24 |
|-----------------------------------------------|
29. | 80101 JENIFA CHAPOTERA 8/4/2016 6:31 |
30. | 80101 JENIFA CHAPOTERA 9/20/2016 1:28 |
+------------------------------------------------+
이쯤 되면 눈치챘겠지만, list var1 var2 var3 ... command는 변수1 변수2 변수3의 옵저베이션을 보여준다.
마지막에 in #/## 을 덧붙이면, #부터 ##까지의 옵저베이션을 보여준다.
옵션을 덧붙이고 싶을 땐, 콤마(,) 뒤에 더해주면 되는데, 이를테면 abb(#) 혹은 sepby(var)
abb(#)는 abbreviate(#)와 같은 것으로, 공간이 부족해 변수 이름이 축약되는 것을 막아준다.
completed_time과 같이 변수 이름이 긴데 표가 나올 공간이 부족하면, comple~e 처럼 요약되기 때문이다.
이 때 abb(#) 옵션을 걸어주면, #만큼의 글자수가 허용된다.
**The End**
'보고, 읽고, 쓰기 > 통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a] 연산기호 (0) | 2018.01.31 |
---|